오늘은 종교인이 아닌 분들을 위한 글을 적어 봅니다. 이단 (異다를 이, 端끝 단) 입니다. 끝이 다르다는 뜻입니다. 기독교에서 자주 쓰이기는 하지만 꼭 어떤 종교에 속하는 개념은 아닙니다 (참고로 저는 종교인이 아닙니다).
"기독교에서 "이단"이란 개념은, 유교 용어에서 차용된 문자적 의미 그대로, "끝이 다름"을 의미한다."
기독교 - 나무위키
최근 수정 시각: 2019-06-17 07:14:59 이 문서는 토론을 통해 본 문서가 하느님이 기독교의 고유명사임을 주장하는 것이 아님을 해당 위치에 기술하기(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제재될 수 있습니다.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과 행적을 본받아 따르며, 그를 인류를 구원한 메시아로 인식하는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경전은 신약과 구약으로 구성된 성경이다. 전 세계에 약 24억 명[5]의 신자 수를 지니고 있으며, 사실상 현
namu.wiki
사람이 모여 집단을 이루는 일은 흔합니다. 동네 계모임도 사람의 집단이고, 같은동네 애들끼리 노는 것도 사람의 집단입니다. 처음에는 좋은 의미로 시작합니다. 같이 놀거나, 함께 약자를 돕고, 선행을 하고, 서로 의지가 되어주기도 합니다. 같이 책을 읽고, 같이 토론을 하고, 공부하고, 같이 성장합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며 그 끝이 달라지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이유없이 돈을 걷거나, 억압을 하거나, 순종이 아닌 복종을 요구하거나, 때로는 집단의 영향력을 위시하여 개인을 핍박하기도 합니다. 사람의 집단이란 끝이 같기보다는 끝이 달라지기가 쉽습니다. 같은 끝을 유지하는 길은 하나이며 그것은 초심 (初心)입니다. 다른 끝이 되는 길은 수백 수천가지가 있습니다.
복종 (服의복을 從따르다)은 그의 권위에 굴복하여 나의 의사를 억누르고 그의 권위를 따른다는 뜻입니다. 순종 (順순순히 從따르다)은 어깃장이나 억지스러움 없이 따른다는 뜻입니다. 어떤것의 성질을 거스르지 않으면서 따른다는 뜻입니다. 복종은 남의 원하는 바를 이루기 위하여 내가 그 지시대로 따른다는 뜻입니다. 순종은 그것의 성질에 순응하여 내가 원하는 바를 이룬다는 뜻입니다. 순리에 역행할수록 턱턱 걸리며 내가 원하는 바를 이루기 어렵습니다. 복종과 순종은 다른 개념입니다.
여러 사람이 동등한 위치에서 모인 집단이 있다면 거기에는 복종이라는 개념이 있을 수 없습니다. 다수의 사람이 동등한 권한을 갖는다면 누구의 권위에 굴복할지를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한편, 사람의 집단이 특정 사람에게 복종하기를 요구한다면 그 집단은 이단으로 흘러가게 됩니다. 사람이란 쉽게도 넘어지는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내가 복종하여 따르는 권위자라고 해도 다르지 않습니다. 그도 사람이고, 자주 넘어집니다. 그런데 집단이 그에게 복종하여 힘을 부여해 놓았다면, 그 권위자가 넘어질때마다 집단이 휘청이며 향하는 바가 비틀어집니다. 그렇게 끝이 달라집니다.
순종
시키는대로 하라 | 순종하라. 어른이 시키는대로 하라. 부모님의 말씀에 선생님의 말씀에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라. 듣기 싫은 말이다. 내 인생은 내 것인데, 내가 하고싶은대로 놓아두지 않고 왜 이래라 저래라 하는 걸까? 나를 좀 내버려두면 좋겠다. 순종 (順從)의 의미는 순순히 따른다는 뜻이다. 단어만 보면 유순하고 좋은 뜻인것 같은데 듣다보면 불편한 기색을 감출 수가 없다.
brunch.co.kr
그도 처음에는 그렇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힘을 얻고, 비틀거리다 넘어지며, 그러면서 끝이 달라집니다. 사람의 집단이 한 사람의 리더에게 지나치게 복종하여 힘을 과부여했을 때 그 집단은 애초 향하던 바와 다른 방향을 향하게 됩니다. 이단 입니다. 여러분의 조직은 어떤가요?
'광인대전 시즌2 광기의 다단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기의 다단계의 내막 (1) | 2019.06.22 |
---|---|
감사합니다. (0) | 2019.06.22 |
자중하겠습니다. (0) | 2019.06.22 |
(수정) 또 마지막? 입장문 (0) | 2019.06.21 |
고백록) 나는 잘못이 없다. (0) | 2019.06.21 |